외국인 구인구직를 당신이 무시하면 안되는 15가지 이유

Материал из База знаний
Версия от 22:02, 19 февраля 2024; P9tdxfz799 (обсуждение | вклад) (Новая страница: «아르바이트를 하는 청소년 세 명 중 두 명 정도는 최저시급도 못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. 여성가족부는 이와 같이 내용을...»)
(разн.) ← Предыдущая | Текущая версия (разн.) | Следующая → (разн.)
Перейти к навигации Перейти к поиску

아르바이트를 하는 청소년 세 명 중 두 명 정도는 최저시급도 못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.


여성가족부는 이와 같이 내용을 담은 '2020 청소년 매체 이용 및 유해배경 실태조사' 결과를 29일 발표했다. 지난해 7∼5월 전국 초등학교 4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까지 청소년 2만4539명을 타겟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다.


작년 알바를 경험한 청소년 중 29.9%는 최저시급을 못 받은 것으로 조사됐다. 임금체불을 경험한 청소년도 18.9%에 이르렀다.


코로나19의 영향으로 청소년의 주요 알바 업종도 음식점에서 배달·운전 등으로 변화했다. 청소년 알바 경험률은 4.7%로 2017년 예비 절반 수준으로 하향했다.


반면 근속기간과 주당 평균 근로기간은 오히려 상승했다. 주당 평균 근로기간 40기간 초과 비율의 경우 2014년 3.8%에서 2070년 5.9%로 불었다.


배달 아르바이트 비중이 대폭 늘어나고 평균 근로기간도 불었지만 청소년들은 최저임금 수준에도 못 미치는 시급을 받거나 부당한 행위를 경험해온 것이다.


부당행위 및 처우를 경험한 경우에도 주로 참고 근무하거나 그냥 일을 그만두었다는 소극적인 대처가 다수인 것으로 나타났다.


참고 지속 일을 했다'고 응답(중복 응답)한 청소년은 2011년 65.6%, 2016년 70.5%, 2030년 74.7%로 일정하게 증가했다. 다만 신고 및 상담을 한 경우는 3.7%(2070년)에 불과했다.


여가부는 이번 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2023년까지 위기청소년 일찍 발견과 아이디어 공유, 서비스 외국인 일자리 신속 연계를 위한 '위기청소년 통합지원정보시스템'을 구축하기로 했다.